S/W 저작권을 이용한 소송 주의

Posted by NUL 공개툴 : 2012. 2. 15. 01:46
과거보다는 많이 달라졌지만

여전히 소프트웨어 저작권에 대해 무지한 사람이 많습니다.

특히 사회 초년생들, 혹은 컴퓨터나 S/W를 잘 모르는 분들 이런 분들이 주의하지 않다가 소송을 당하는 일이 종종 있어요.

악의적으로 상용프로그램이 아닌듯 보이게하여 사용케 만들고 나중에 소송을 거는 경우는 특히나 주의해야 합니다.

과거엔

저작권 개념을 잘 몰랐던 사용자가 S/W 불법 복제 단속에 걸려 해당 업체에 합의금을 지불하는 자신의 무지 헉은 자신의 잘못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 하는 일이 꽤 있었지만

요즘엔 보다 액티브하게 사용자를 공짜 프로그램인양 꼬득여서 설치하게 만들고 소송으로 뒤통수를 치는 업체도 있습니다.

그래서 주의 사항을 좀 정리 해봤습니다.

1. 프리웨어라고 다 공짜가 아니다

프리웨어를,,,, 공짜를 쓰는데에는 일종의 조건이 필요합니다.
어떤 조건인지 설치시에 약관을 잘 읽어 보아야 합니다. 잘 모르겠으면 설치를 안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인터넷에 검색한 결과 무료다... 이런것도 믿으면 안됩니다.
일단 인터넷에 잘못된 정보도 많은 데다가 약관, 라이센스 등은 언제든 바뀔수 있습니다.
즉, 당장 설치하는 S/W에 명시되어 있는 약관을 믿어야 합니다. 

2. 개인에게만 무료, 기업/기관은 유료라는 라이센스의 함정

우리나라엔 이런 라이센스가 참 많습니다.
워낙 불법 사용자들이 많으니 이런 개인 사용자 시장은 과감히 포기한 라이센스가 인기(?)를 얻게 되었는데요.
이것도 주의해야 합니다.
개인의 노트북에 이런 라이센스를 가진 S/W를 설치했다가... 이를 회사로 가져갔다면, 라이센스위반으로 간주합니다.
개인 소유라도 회사로 가져왔다면 회사의 업무에 사용했다고 간주하기 때문입니다.
흔치 않은 경우이긴 하지만, 재수없게 개인 노트북을 회사에 가져갔다가, S/W 불법단속에 적발되어 벌금을 무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업데이트도 다시 확인

처음엔 프리웨어 였지만 엡데이트 하면서 유료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대로 읽지 않고 [확인] [확인]을 눌러서 업데이트하면, 의도와 다르게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자가 되어 버립니다.
이러한 라이센스 전환에 대한 공지를 눈에 잘 안보이게 구석에 명시하거나
자동 업데이트 되서 사용자도 모르게 상용프로그램을 업데이트가 되었다면
개발 업체의 악의가 숨어 있다고 봐야 합니다. 바로 소송 혹은 벌금 준비를 하셔야 할수도 있습니다.
업체가 의도한거니 고발을 안할리가 없겠죠?
이런 악의적인 업체의 S/W가격은 상식적인 값보다 훨씬 비쌉니다.
애초에 정당하게 판매할 생각보다는 합의금으로 돈벌 생각이기에 가격이 높을 수록 좋은 거죠

4. 정보 유출에 주의


일반적인 개인정보 뿐 아니라 PC의 정보도 주의해야 합니다.
S/W 설치시 약관을 꼼꼼히 읽다 보면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수집...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이게 일종의 고유 번호 같은 개념으로 이걸 알면 어떤 PC 인지 구분해낼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가지고 소송시 증거로 쓸 수 있죠.
뭐 그게 아니더라도 악용의 소지가 있을 수 있겠죠. 

스마트폰도 마찬가지 입니다. 어플리케이션의 권한 부분을 꼭 확인해 보세요.
여러분의 전화번호 목록 전체가 다 빠져나갈수 있습니다.

  

아이콘 제작 프로그램 3종세트

Posted by NUL 공개툴 : 2011. 10. 5. 19:24
아래3종 세트면 뚝딱뚝딱 간단하게 아이콘 제작이 가능합니다.

 

훠닐 스타일픽스


그림/사진 편집기 이지만..... 아이콘 파일로 저장이 가능 합니다.






Icon-Generator

FLASH로 되어 있어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하거나 다운로드 받아 쓸수 있습니다.
다운로드후 프로그램 실행해서 쓰려면 Adobe-Air를 추가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시 물어봄)




Simply Icon 

PNG 파일 혹은 기타 이미지 파일을 드래그/드롭 방식으로 아이콘 파일로 자동 변환해 줍니다.

 
  

7-Zip 으로 분할 압축을 하자

Posted by NUL 공개툴 : 2011. 7. 1. 21:51
7-Zip 은 GNU LGPL 의 Open Source Software 입니다.

일반 사용자에겐 소스 따위는 관심없는 이야기이므로 간단히 얘기하자면  공짜로 아무데서나 쓸수 있습니다.

여기 ->> 
http://www.7-zip.org/ 에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알집의 EGG 를 쓰시는 분들 분할 압축 때문에 쓰는 경우도 있는데

7-zip 도 가능합니다.

도대체 알집 쓰는 사람들을 이해할 순 없지만 본인이 쓰고 싶다는 걸 막을 순 없는거고...

단지 분할 압축이 아쉬운 분들께 (RAR도 분할 압축이 되긴 하지만 상용프로그램입니다.) 7-Zip의 분할 압축법을 소개합니다. 


1. 탐색기 에서 압축할 파일/폴더를 선택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합니다

2. 팝업메뉴에서 [7-Zip] - [압축 파일에 추가...] 클릭합니다

3. 여러가지 옵션을 걸수가 있는데 이중 화면에서 왼쪽 아래 [볼륨 나누기,바이트(V)]에 사이즈를 입력합니다.

   1메가 단위로 분할 하려면 [1M] 7메가 단위로 분할 하려면 [7M] 을 입력,

   확인 누르면 압축이 됩니다.


7-Zip 압축 성능이 꽤 좋습니다.

많이들 쓰세요 
  

동기화 서비스 - SyncToy, 구글

Posted by NUL 공개툴 : 2011. 6. 28. 19:14
요즘 많이 쓰는게 동기화 서비스다

예를들면 데스크탑과 노트북에서 상황에 따라 작업을 해야 할때 일일히 카피 하거나

잘못 카피해서 데이터를 날리는 삽질을 할 필요 없이 두 PC의 데이타를 최신 데이터로 유지 할 수 있다.

이럴때 쓰는 것이 SyncToy 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윈도우즈에서 폴더 단위로 동기화 시키는 프로그램이다)

한글로 된 사용법은 QAOS.com에 잘 정리 되어 있다.

업무상 노트북 사용이 잦고 사무실에선 데스크탑을 쓰는데 수년째 잘 사용해 오고 있다.

최고로 유용한 유틸리티중 하나가 아닌가 생각한다.



요즘엔 스마트 폰이 보편화 되면서 메일/스케줄/각종 문서를 스마트 폰에서 동시에 사용하는데....

그러다보니 스마트 폰의 어플들에겐 동기화라는 기능이 당연하게 필요하다.

다 나름 잘되지만... 그중의 최고는 역시 구글인것 같다

현재 메일/사진/문서/캘린더 등을 사용하는데 만족하고 있다.

여기에 전자서적과 음악이 추가 되었는데 (음악은 아직 베타고 국내서는 사용이 어려움)

이러다 구글의 노예가 되는게 아닌가 하는 걱정이 들면서도 편하니까.....

구글 뮤직 베타

 
  

구글 크롬 6.0

Posted by NUL 공개툴 : 2010. 9. 24. 18:39
그간 웹 브라우저는 항상 오페라만을 고집했습니다.
첫째는 속도
둘째는 추가 설치가 필요 없이 어지간한건 다 갖춘 편리함(UI/제스처/동기화/리더/메일/디버깅/광고차단 등등등)

최근
크롬이 많이 빨라졌다길래 써봤습니다. (이전엔 오페라보다 확실히 느렸음)
확실히 이젠 속도 때문에 오페라를 고집하긴 어렵군요 속도 비교는 측정을 해야 확인할수 있을 정도인데...
체감속도만 비슷하다면 어차피 큰 의미는 없다고 봅니다
필요한 기능들도 귀찮지만 확장 프로그램 몇개 찾아서 설치하면 되고
그러다 보면 오페라에 있던 편리한 UI들도 거의 다 들어가 있네요(요즘 웹 브라우저 추세가 그런 듯)

오페라에 비해 당연하겠지만 구글 기어스를 지원 한다는게 큰 메리트가 있겠습니다.
국내 사이트들도 비교적 오페라보단 크롬이 더 잘 맞는 듯 하고요

이전엔 크롬에서 무한 리소싱 증가하는 버그(?)로 쓰다가 지우곤 했는데...
앞으로 이 문제만 없다면 갈아타도 될것 같습니다.
  

MindMap S/W

Posted by NUL 공개툴 : 2010. 1. 20. 21:52

Mind Mapping S/W 비교 

위의 위키 링크를 가보면 대략 인지도 있는 Mind Map S/W 들이 공개용/상용으로 나누어져 설명 되어 있습니다.


대략 확인한 바로는 

상용으로는 MindManager 와 국산인 ThinkWise(영문 이름 MindMapper)가 대세(?) 인 것 같은데...

ThinkWise가 가격이나 기능을 봐도 앞서는 것 같습니다.


Freeware 로는 제일 유명한게 FreeMind 이죠.

ThinkWise가 무척 마음에 듭니다만.... 회사 업무에 개인 돈을 쓰기는 싫어서... FreeMind를 쓰다가, 뭔가 부족함을 느껴서 현재는 XMind를 사용 중입나다.


XMind의 장점은

1. 무료 (점점 대머리가 되어가는 것 같음)

2. Floating Topic 가능 (FreeMind로는 못하는 것으로 이게 xmind를 쓰게된 결정적 이유)

3. 미려한 디자인 (FreeMind 보다는 디자인이 좋고, 그럭저럭 상용 못지 않음)

4. 매우 쉬운 사용법 (FreeMind 보다 유저 인터페이스가 좋아보이긴 한데 버그가 있어서 샘샘)

5. 여러개의 문서를 SHEET 형태로 묶음 (FreeMind는 못하긴 하는데 개인적으론 있으나마나한 기능)


다만...

PDF나 오피스 문서로의 변환은 PRO 버전을 구입해야 하는데... 이게 기간별로 등록하는 거라...

차라리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는 ThinkWise를 구입하는것이 낫다고 봅니다. (외산에 비해 매우 저렴)



현재 로그인 암호도 잊어버리고 접속하기 귀찮아서 PRO 버전 등록하는 법은 확인을 못했습니다.


xmind 설치후 JVM terminated. Exit code=-1 에러가 발생할때는 http://danbisw.tistory.com/4512 를 참고 해서 해결 가능합니다.


  

BitNami Redmine

Posted by NUL 공개툴 : 2009. 12. 10. 19:00

http://www.redmine.org 프로젝트(소스) 관리 툴
http://bitnami.org Open Source Software Package

BitNami Redmine 이란 한마디로 Redmine이란 소스 관리 툴을 BitNami 에서 패키징 해서 한큐에 설치할수 있게 만든 것이다.
(눈물난다. 여태 이걸 볼랐다니 ㅠㅠ)
기존의 Ubuntu 9.04 Server에 설치해봤더니 대강 되는 듯...

nForge, Trac, XE Issue Tracker 다 지워 버리고 이걸로 가야 할 것 같다. 간단하니까....;
nForge는 안정화 되기전까진... 현재는 사용이 너무 괴로움....;
Trac는 설정이 귀찮다...;
Redmine이 기본 설치만으로도 적당히 필요한게 다 들어가 있고 유아이도 깔끔하다.
Mantis는 유아이가 그닥 멋지지 않아서.... - 그게 뭔 상관일까 싶지만...

가상 서버 호스팅(VPS : Virtual Private Server)을 한달 신청했는데,
설치 되는대로 이리 저리 해보고 쓸만하다면 쭉 사용해 보려고 한다.
  

우분투 9.04 사용 후기

Posted by NUL 공개툴 : 2009. 10. 15. 19:44

새 노트북의 비스타가 갑갑하여 시험삼아 우분투를 깔아봤습니다.


1. 설치 편함

윈도우 설치나 별 차이가 없습니다. 

윈도우 프로그래밍이 업이므로... 윈도우를 안쓸수는 없는 상황이라 멀티 부팅을 만들었습니다.

파티션 잡는 건 예전과 같네요 10(EXT3), 2(SWAP) 기가로 두개

시험삼아 돌려 보려면 굳이 이렇게 할 필요 없이, 윈도우상에서 우분투 시디 넣고 WUBI를 실행하면 됩니다.

WUBI를 통해 설치하면 프로그램 추가/삭제로 삭제도 쉽게 되고, 데모 돌려 보면 체험 하기엔 그만이죠

윈도우를 주력으로 쓸수 밖에 없는 제 입장에선 이게 오히려 낫겠군요 ㅋ


2. 자동 업데이트

업데이트 뿐 아니라 어플리케이션도 자동으로 찾아 주는군요.

아직은 걍 둘러 보는 정도라..... 즐겨 쓰는 나눔 고딕 폰트와 오페라만 깔았습니다.

오페라의 동기화 기능은 세부 설정까지는 아니지만, 기존 북마크등을 가져오기에 설정이 수월합니다.


3. 언어 / 한글 입력 조절이 필요

언어를 한국어로 세팅하고, 키보드를 조절해야 합니다.


4. 사운드와 무선랜이 문제

사운드는 안 잡힙니다. 무선랜은 안써서 모르는데 구글 검색해보면 그것도 잘 안 잡히는 듯?

최근에 나온 HP 사의 Pavilion dv5 1XXX 시리즈이고.... nVidia IDT High Definition Audio가 탑재 되어있는데...

이게 아직 리눅스에서는 지원이 안되는 모양입니다.

일부... 커널 컴파일로 해결한 사람도도 있던데... 일단은 포기... -_-;

다음 버전엔 지원이 되겠지요.


5. 도움을 받은 웹사이트 + 블로그들입니다.

http://ubuntuforums.org/

http://www.ubuntu.or.kr/

Ubuntu Linux : 우분투 리눅스

Ubuntu8.04 우분투 자동업데이트후 늘어난 부트메뉴

[우분투 8.04] 글꼴 변경하기(맑은고딕)


  
노트북과 데스크탑을 함께 쓰는 입장에서
북마크나 RSS, 갖가지 설정들을 동일하게 가져가고자 할때,
설정 파일들을 통째로 가져갈수 있다.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이름\Application Data\Opera

이걸 카피...

끝...


추가.
한글 입력이 문제가 되는데 (스페이스 입력시의 문제)
http://motivation.tistory.com/146에서 방법을 알려준다.
(국가별 언어 옵션에서 IME 2002로 바꿔주면 해결 )
  

프리웨어 파티션 백업

Posted by NUL 공개툴 : 2008. 2. 23. 15:37
컴퓨터를 많이 쓰느 분들은 자주 느끼겠지만....

여타의 문제로 인해 윈도우를 다시 설치 해야만 하는 경우 귀찮고, 시간도 오래 걸리고, 자료를 유실할 수도 있고,... 여러가지로 번거롭다.
회사에 노턴 고스트 류의 파티션 백업/복구 프로그램 구입에 대해 요청을 해봤지만 별 반응이 없었고 -_-; 결국 프리웨어를 찾아 보게 됐다.

Ultimate Boot CD, Partition Saving
  1. 블로그 : Partition Saving으로 NTFS 파티션 백업하기 : 매우 친절하게 설명 하고 있기에 보고 따라하면 된다.
  2. Ultimate Boot CD가 필요하고 부팅 시디를 만들어야 한는데 http://ubcd.sourceforge.net/ 에서 다운로드 받을수 있다.
  3. 이 UBCD 안에 무진장 많은 것이 들어가 있고 그 유틸리티들 중의 하나가 Partition Saving이다.
공시디가 없어서 아직 백업은 못해봤지만.... 직감적으로 쓸만할 것 같다 -_-;

나중에 써보고 내용을 추가할 것이다.
  

포토샵을 버리자.

Posted by NUL 공개툴 : 2007. 7. 11. 12:33
디자이너가 아닌 사람들이 포토샵을 즐겨 쓰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
도대체 사진 크기를 줄이고 밝기를 조절하는데 그 커다란 프로그램을 불법 복제까지 해서 쓸 필요가 무엇인가?
이런 일을 장려하고 있는 일반인을 위한 포토샵 강좌 같은 것도 보기 좋지 않다.

다른 예로 텍스트로만 되어 있는 문서를 워드로 작성하거나, 별 도식 같지도 않은 도식들을 비지오로 작성해서 보내오면 엄청난 짜증이 밀려온다.
해당 소프트웨어를 PC에 설치해야 하는 것이 짜증을 유발하고 그걸 실행하는 느린 로딩 속도는 짜증을 배가시킨다.

아무튼, 그런 의미에서 포토샵을 대체할 가볍고 빠르고 공짜인 공개 소프트웨어를 소개하겠다.

1. 포토스케이프

국산 소프트웨어로 그림파일의 뷰어/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기본 취지가 디지털 사진 편집을 손쉽게 하기 위함이기에 엄청나게 다양한 기능을 간단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사진을 포토샵으로 꾸미고 싶은 사람들은 귀찮게 강좌 볼 필요 없이 이걸 쓰면 된다. 업데이트 주기도 상당히 빠르고 국외에서도 호평 받는 걸로 알고 있다.

대략적인 기능은 아래와 같다.
  • 사진뷰어: 폴더의 사진을 한눈에 보기, 슬라이드쇼
  • 사진편집: 크기조절, 밝기조절, 색상조절, 역광보정, 액자, 말풍선, 모자이크, 글쓰기, 그림 그리기, 자르기, 필터, 적목보정, 뽀샤시
  • 일괄편집: 여러 장을 한 번에 변환하는 일괄처리
  • 페이지: 여러 장을 템플릿 한장으로 만들기
  • 이어붙이기: 아래로, 옆으로, 바둑판으로 여러 장을 한 장으로 이어 붙이기
  • GIF애니메이션: 움직이는 GIF 사진으로 만들기
  • 인쇄: 증명사진, 명함사진, 여권사진이나 썸네일 인쇄
  • 화면캡처: 화면을 캡처해서 편집, 저장하는 기능
  • 색상검출: 사진이나 웹상의 화면을 확대해서 색상을 알아내는 색상검출 기능
  • 이름변환: 사진이름 일괄변환
  • RAW변환: RAW 파일을 JPG 파일로 일괄변환
  • 얼굴검색: 인터넷에서 동일 하거나 비슷한 얼굴을 검색
  • 사진북마크: 사진전문 즐겨찾기


2. GIMP 김프 한글

좀 더 전문적인 편집 기능이 필요하다면 이걸 쓰면 된다. 포토샵이 전혀 부럽지 않다. (사실 나에겐 포토샵의 기능이 필요하진 않으므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는 말하기 어렵다.)

3. 잉크스케이프

요건 벡터 이미지 편집용이다. 개인적으로 DXF를 다루는 일이 많아서 굳이 관련 기능을 만들어 주기 보다는 위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방법을 많이 쓴다.

3가지를 제시했는데 사실 디자이너가 아닌 이상 1번 포토 스케이프면 모든 게 다 해결된다 -_-;

당장 무거운 포토샵을 지우자.
  

늘 툴즈 (V 1.0.0.9)

Posted by NUL 공개툴 : 2007. 6. 12. 18:45
여러 가지 툴 모음입니다.
  1. 텍스트 기반의 메모장.
  2. 화면 갈무리.
  3. 가상 화면 (화면을 4개로 나누어 전환하며 사용).
  4. 색상 추출기
  5. IP 변경.
  6. 공학 계산기.
  7. 파일 이름 일괄 변경.
  8. 화면 그리기.
  9. 알람및 일정



그간 사용했던 자작툴들을 모아 모아서 새로 구성했습니다. 있던 소스들를 보기 좋게 모았을 뿐인데 워낙 자잘한 것들이 많다 보니, 모아 놓기만 하는데도 꽤 걸리는군요. 필요 없는 것들을 다 삭제하고 다이어트를 했습니다. 잡다한 설명은 나중으로 미루고 쭈~욱 스샷만 올려놔야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색상 추출기입니다. HSL,RGB,BGR 포멧 보여주고 임의의 화면을 찍어서 색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추출한 색상들은 리스트에 담아 보관 할수 있습니다 (18 개)


반투명 포스트잇 같은 녀석으로, 텍스트 기반의 메모장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포커스 이동시 파일이 저장되며, 저장 경로는 프로그램이 위치한 곳의 data 라는 하위 폴더입니다. 우클릭 - 삭제 명령으로만 데이터가 삭제 되고 x 자 버튼은 화면을 사라지게만 합니다. 트레이 아이콘을 누르면 다시 메모가 보여지죠. 캡션을 더블클릭하면 접혀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화면 갈무리(캡쳐)로 만들다 만 거지만, 캡쳐는 잘합니다.
GIF등의 칼라 수 변경시 여러가지 방법으로 적용하게끔 꾸몄습니다. (TGifImage 를 가져다 쓴겁니다. -_-;)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모장 다음으로 제가 가장 많이 쓰는 계산기입니다.
저장,복사,붙이기가 가능하니 복잡한 계산 하기 유용합니다. 간단한 진수 변환도 요긴하고요. 스크립트 기능은 다음에 해야겠네요. 없어도 되겠더라구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양한 파일 이름 바꾸기.
1년에 한번 쓸까 말까한 기능인데, 저에겐 없으면 꼭 필요하게 되서 결국은 넣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난 포스트인 화면 그리기 프로그램을 만들자를 토대로 적용했습니다.
발표할 일이 많지 않고, 또 발표할 땐 파워 포인트를 쓰니 별로 필요는 없지만, 화면 갈무리와 많은 클래스를 공유하기에 그냥 넣었습니다. 넣어 봐야 메모리 차지도 별로 안해요. -_-;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일 일정및 시간 관리 기능을 넣었습니다.
다운로드 걸어 놓고 PC 자동 종료 할때도 가끔 씁니다. -_-;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알람으로 시스템 종료가 동작이 되면 이런 화면이 뜹니다.





다음의 개발환경에서 제작/테스트 되었습니다.
  1. Windows XP Pro SP2
  2. Delphi 7 Pro (http://CodeGear.com)
  3. FastMM (http://fastmm.sourceforge.net)
  4. Graphics32 (http://graphics32.org)
  5. TExpressionParser (http://www.dow.wau.nl/aew/parseexpr.html)
  6. PNG Delphi (http://pngdelphi.sourceforge.net)
  7. GIF Graphics Object (http://www.tolderlund.eu/delphi/)
프리웨어이고, 설치는 적당한곳에서 압축을 풀면 끝. 레지스트리 건드리는 걸 극도로 싫어하기에 실행 파일이 위치한 곳에서 설정 파일들을 생성해서 동작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삭제할 때에도 해당 폴더를 통째로 지워주시면 끝. 버그 리포팅 대환영합니다.


다운로드 V 1.0.0.9
  

늘 툴즈 - 일일 일정관리 기능 소개

Posted by NUL 공개툴 : 2007. 6. 12. 18:08
기존의 알람 메세지 출력 기능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게 하였습니다. 고친지는 꽤 되었지만, 프로그램 만드는것 보다 이런 설명글을 작성하는게 더 어렵군요. 하루 24 시간을 보여주고 설정된 알람을 아래 그림과 같이 보여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들내미 사진을 배경으로 설정한 상태
빨간색은 현재 시간, 파란색은 현재 설정된 알람들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우스 우측 클릭 - 화면 설정을 들어가면 위의 화면이 나오며 배경 그림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단 배경 그림은 지정한 경로의 파일이 존재 해야 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마우스 우측 클릭 -알람 설정"을 들어가면 위의 화면이 나오며 각각의 알람을 "추가/생성/삭제"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알람은 요일별로 "사용/불가"를 선택할 수 있고,
지정된 알람들은 별도의 파일로 저장하고나 불러올수도 있죠.

  

오페라(OPERA) 사용팁

Posted by NUL 공개툴 : 2007. 5. 23. 15:25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조 사이트
IE TAB 에 관한 글
오페라 위키 (사용자 버튼)

유용한 버튼 만들기 (클릭하면 설치)

  1. Validate HTML
  2. Validate CSS
  3. View Source
  4. Javascript On Off
  5. IE로 열기

고급 설정

  1. 설정 하기
  2. 스피드 연결 검색 창 설정하기

IE TAB 버튼 만들기

  1. 플러그인 다운로드(클릭).
  2.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설치.
  3. C:\Program Files\Internet Explorer\PLUGINS/npmeadax.dll를 C:\Program Files\Opera\program\plugins에 복사.
  4. IE TAB 버튼을 만든다(IE TAB 버튼을 만드려면 여기를 클릭).
  5. ActiveX.js를 작성.
    // ==UserScript==
    // @name Load ActiveX
    // @author Tommy
    // @description Replace ActiveX MimeType so Neptune can handle it
    // @ujs:category general: enhancements
    // @ujs:published 2006-04-01 20:00
    // @include *
    // ==/UserScript==
    /*
    * This script is granted to the Public Domain
    */
    document.addEventListener('load',function(ev){
    var d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embed');
    for (var i = d.length-1; i > -1; i--) {
    if (d[i].getAttribute('type') == "application/x-oleobject") {
    d[i].replaceAttribute('application/x-meadco-neptune-ax');
    }
    }
    },false);
  6. 위의 ActiveX.js 를 적당한 위치에 저장.
  7. 도구 - 환경 설정 - 고급 설정 - JavaScript 옵션 - 사용자 JavaScript 파일에 아까 작성한 AcyiveX.js 파일의 경로를 세팅.

위지윅을 대체할 편집기

  1. http://docs.google.com : 글자가 연타로 들어가는 문제로 포기...
  2. Windows Live Writer : 테스트 결과 비공개글을 제외하고 잘됨. 추가 기능은 살펴봐야겠음
  3. 귀찮다 걍 html 모드에서 작성하자 (현재 이방법 사용중-_-;)
  

가장 빠른 웹 브라우저 오페라(OPERA)

Posted by NUL 공개툴 : 2007. 5. 14. 12:02
빠른 웹 브라우저 오페라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속도 재고 그럴 필요도 없이 그냥 눈으로 봐도 빠릅니다. 크기도 타 웹브라우저보다 가볍습니다. 언제나 "작고 빠른 애플리케이션"을 추구 하는 저에게 제격이지요. 자 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들을 보시고 전 좀 다른 이야길 해보고 싶습니다.



오페라의 가장 큰 문제점은 태터,티스토리에서 위지윅이 안된다는 점입니다. 사실 오페라가 IE를 제외한 브라우저 중에서 꽤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완전 떨거지 취급입니다. 관심을 받다가도 글쓰기가 불편하다는 이유로 프로그램 제거를 하게 됩니다. 참말로 불쌍하죠. 저도 블로그 포스팅을 IE에서 합니다. -_-; 뭐 쓰는 사람이 적으니 어쩔 수 없다고 느끼고 넘어갑니다. 아마 대다수 오페라 사용자는 그럴 것입니다.


근데 웃기는 건 똑같은 마이너인 FF는 지원을 하는데다가 그 지지가 열렬하다는 겁니다. 제가 볼 때 FF는 분명히 편리한 기능이 많습니다만, 언제나 추구하는 저의 기준인 "작고 빠른 애플리케이션"에 전혀 들어맞지 못하는데다 메모리 누수도 장난 아닙니다. 웹 표준준수의 문제를 제외하면 IE보다 좋다는 걸 전혀 느끼지 못하겠습니다. 부가기능을 원한다면 IE의 확장 브라우저를 쓰면 되거든요.


TNF 에서는 오페라가 웹 표준을 준수하지 않기 때문에 위지윅을 오페라에 맞출 순 없다고 합니다. IE는 비표준이지만 사용자가 많으니 어쩔 수 없다는군요. 그런데 오페라가 과연 비표준 덩어리일까요? 그분은 아래의 링크를 걸어 놓으셨는데.....


http://www.webdevout.net/browser-support-dom#about

웹 프로그래머 아닌 사람이 이걸 보고 뭘 압니까? 저도 프로그래머로 밥 벌어먹고 산지 10년 좀 안되지만 웹 쪽이 아니니 뭔 소리인지 모르겠던데...
그리고, 죽 봐도 IE와 FF가 지원하면서 오페라가 지원 안 하는 항목은 없는 것 같은데 무슨 근거로 오페라가 비표준이기에 지원을 못 한다는 건지 알 수가 없습니다.

오페라는 마이너니까 지원하기 귀찮다, FF는 마이너지만 파워유저(?)들에게 인기가 있으니 지원한다. 라고 솔직히 말했으면 하는군요.

많은 사람이 개이버라 비아냥거리는 네이버에서도 글쓰기는 물론이고 블로그 스킨 변경까지 아무 문제 없이 잘 쓰는 오페라이건만......

앞으로 오페라 지원 없이 웹 표준 뭐시기 하는 이야기는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포토 에디터 업그레이드 (Ver 0.1.0.5)

Posted by NUL 공개툴 : 2007. 4. 24. 21:41

Ver 0.1.0.5 변경사항.

  1. "새 이미지" 기능 추가.
  2. "텍스트 삽입" 에 안티알리아싱 옵션 추가.
  3. "적목 현상 교정" 기능 추가.
  4. "액자 만들기"기능 추가 (스티커, 라운드, 박스 의 3가지 형태).
  5. "모자이크" 기능 추가.
  6. GIF 포멧 지원.
  7. 키보드 셀렉션 (선택 영역을 키보드 화살표 키로 1 pixel 씩 가능케 했습니다. SHIFT 와 함께 누르면 사이즈가 조절).
  8.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경.

사용 예제 (클릭하면 큰 화면으로 보임).


액자 만들기 - 스티커 (네이버를 베꼈습니다 -_-;).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액자 만들기 - 라운드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액자 만들기 - 박스 (프레임 크기/색상 여백 등등을 바꿀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자이크 - 원하는 영역을 마우스/키보드로 선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자이크 - 모자이크 된 모습입니다. (알고리즘은 어딘가에서 본 그림판으로 모자이크 효과 내기를 보고 코딩했습니다 -_-;)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자이크 - 인터폴레이션 옵션을 켰을 경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적목효과 교정 - 모델은 집사람 사진 입니다. (테스트는 좀 심하게 붉은 눈이 나온 외국인 사진으로 했는데 여기엔 초상권 때문에 마누라 사진을 올립니다 -_-;)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적목효과 교정 - 마우스로 드래그하면 밝은 영역이 그려지고 (역시 피카사처럼 만들었습니다만, undo/redo의 기록이 남는 건 이게 더 좋습니다 -_-;)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적목효과 교정 - 마우스를 떼면 붉은색이 교정됩니다. 계속 반복하고 잘못되었을 경우 되돌리기(Ctrl+Z) 하면서 교정합니다. (...... 예쁘죠? *-_-*)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이콘 생성기

Posted by NUL 공개툴 : 2007. 4. 15. 22:00
강력한 프리웨어 아이콘 생성기 : Alpha Icon Creator

이미지를 아이콘으로 변환해줍니다.

이 프로그램이 훌륭한 이유는

우선 흔치 않은 아이콘 생성 프로그램이고
32bit 칼라와 모든 크기의 아이콘이 자동 생성 되며
큰 사이즈의 이미지를 자동으로 아이콘화 시켜준다는 거죠

Art Weaver 등으로 이미지를 넉넉한 크기로 만들고 요놈으로 변환 사켜주면 그럴듯한 결과를 얻을수 있습니다.

VB 소스도 제공하는것 같으니 관심 있으신분은 둘러 보시는것도 좋을 듯

사용자 삽입 이미지
  

Jn Tools

Posted by NUL 공개툴 : 2007. 4. 10. 19:01
Jn Tool 입니다. (아마도 1.0.0.57 버전인듯....)
invalid-file

적당한 폴더에 압축을 풀고 실행하세요


기능은 아래 그림과 같고, 도움말은 없습니다 -_-;

1. 메모
2. 가상 스크린
3. 캡쳐 (이거 보다 OpenCapture가 훨씬 좋죠 저도 안씁니다 -_-;)
4. 기타 (IE 모두 죽이기 -_-;, 게임 관련 유틸은 전부 삭제했습니다)
5. IP 변경
6. 파일 이름 (가끔 씁니다)
7. 텍스트 계산기 (요건 점 쓸만합니다 메모장 타입의 공학 계산기죠 F1 누르면 명령어 도움말 나와요)
8. 알람 (윈도우 스케줄러가 있으니 거의 무용지물화 되가는 기능..)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프리웨어 이나 배포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MP3, 음원 관련 프리웨어

Posted by NUL 공개툴 : 2007. 4. 5. 13:20
작고 빠른 MP3 플레이어 : Fooba http://www.foobar2000.org/

사용자 삽입 이미지
노트북의 밧데리를 오래 쓰기 위한 플레이어를 찾다가 발견한게 기회가 되어 계속 쓰고 있는 놈으로 간단하고 작고 빠른걸 선호하는 제 취향에 딱 맞는 녀석

오디오 파일 변환, 추출 프로그램 : CDex
http://cdexos.sourceforge.net/
http://bin.myfolder.net/story/83004 에 가시면 한글 언어팩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프리웨어 MP3 인코더 중에서 가장 쓰기도 쉽고 뛰어나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제가 너무 오랫동안 써왔기 때문에 그리 느낄수도 있겠군요.
  

압축, 파일관리 프리웨어

Posted by NUL 공개툴 : 2007. 4. 4. 20:05
압축 프로그램 : 빵집
http://www.bkyang.com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양한 압축 포멧을 지원하며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압축 프로그램


  

문서, PDF 관련 프리웨어

Posted by NUL 공개툴 : 2007. 4. 4. 19:50
  • 구문 강조 기능의 텍스트 편집기 : AcroEdit http://www.acrosoft.co.kr/acroedit.htm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문강조, 파일 비교, FTP, 조합형 인식, 다양한 편집 기능을 갖추었고 꾸준히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 빠른 PDF 리더 : Foxit http://www.foxitsoftware.com/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능적으로는 Acrobat에 다소 모자른 면이 있긴 하지만 크기가 작고 그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Acrobat과 마찬가지로 리더만을 무료로 사용가능 합니다



  • 간단하고 쉬운 PDF 변환 프로그램 : doPDF http://www.dopdf.com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문서 작성후 설치된 doPDF 프린터로 출력하여 PDF 파일을 만드는 식으로 쉽고 매우 간단하게 PDF 파일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 & 동영상 재생 프리웨어

Posted by NUL 공개툴 : 2007. 4. 4. 16:20
  • 다양한 기능의 화면 캡쳐 프로그램 : OpenCapture http://openproject.nazzim.net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프리웨어 임에도 기능적으로 보자면 손색이 없는 국산 S/W


  • 레이어 필터 지원 그래픽 편집 프로그램 : Art Weaver http://www.artweaver.de/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포토샵에는 못미치지만 현재 개발중이기에 많은 기대가되는 S/W로 다양한 필터와 이미지툴, 레이어가 지원 됩니다.


  • TV, 자막 싱크, 자동 코덱 동영상 플레이어 : KMPlayer http://www.kmplayer.com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랜 기간 기술 축적으로 제작된 순수 국산 S/W로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강력합니다





  • 사진 검색 편집 공유 : 피카사 http://picasa.google.co.kr/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날히 발전해가는 구글의 사진 관리/공유 프로그램 간단한 효과를 손쉽게 넣을 수 있습니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