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사의 윈도우즈가 PC의 운영체제(OS)인것처럼 안드로이드는 스마트폰의 운영체제(OS)입니다.
이 안드로이드는 윈도우즈와 달리 설치시에 롬이란 놈을 사용하는데 Read Only Memory 와는 다른 의미로 쓰입니다.
일종의 설치 파일과 같은 개념으로 롬에는 OS의 핵심 부분인 커널(윈도우즈에도 있음)과 OS에 필요한 각종 파일들이 들어갑니다.
정리하면 커널이 OS의 핵심이고. 롬은 커널과 기타 덜 핵심적인 어플이나 파일들이 들어가 있는 겁니다.
2. 루팅
순정 상태의 안드로이드 폰은 관리자 권한 없는 PC와 비슷합니다.
시스템 내부적인 기능에 대해선 조작이 아예 불가능 합니다.
루팅은 이 관리자 권한 (root 권한)을 부여 해서 안드로이드 OS의 모든 기능을 쓸 수 있게 하는 겁니다.
대신 이 root 권한을 요구 할땐 항상 물어보는 확인 절차를 거칩니다.
이런 root 권한을 부여하기위한 슈퍼유저 어플을 설치하는 것이 루팅입니다.
현재 진저브레드 2.3.4 기준으로 슈퍼 유저 어플은 일반적인 어플 설치 방법으로는 설치가 안됩니다. (부트로더-CWM 리커버리 에서 설치해야 합니다.)
이런 root 권한을 부여하기위한 슈퍼유저 어플을 설치하는 것이 루팅입니다.
현재 진저브레드 2.3.4 기준으로 슈퍼 유저 어플은 일반적인 어플 설치 방법으로는 설치가 안됩니다. (부트로더-CWM 리커버리 에서 설치해야 합니다.)
슈퍼유저 어플에서 알림창이 떠서 물어 본다면 꼭 내용을 읽고 필요한 것만 OK를 누르셔야 합니다.
아무생각없이 OK 클릭을 해버리면 PC 사용시에 인터넷이나 메일에서 아무거나 클릭하면 안된다는 것 보다 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부트로더 언락(부트로더 따기)
전원을 켜면 가장 먼져 실행이 되는 부분이 부트로더 입니다. 또 여기에서 운연체제(OS)를 시작합니다.
OS가 시작되기 전인 부트로더에서 작업을 해야 OS를 바꿀 수가 있다는 얘기입니다.
통상 이곳에서의 작업을 수월하게 하기위해 Clock Work Mod 를 설치하는데,
이는 기존의 리커버리를 덮어 씌우는 것으로 그냥 덮어 씌울 수는 없습니다.
이는 기존의 리커버리를 덮어 씌우는 것으로 그냥 덮어 씌울 수는 없습니다.
쓰지 못하도록 잠그어 놓았기 때문입니다.
부트로더 언락이라는 행위를 해야 부트로더의 데이터를 바꾸는 작업 즉 CWM 리커버리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커스텀 롬 설치의 시작은 부트로더를 따고 기존의 리커버리를 CWM 리커버리로 바꾸는 겁니다.
주의할점은 부트로더를 따면 모든 데이터가 싹 지워집니다. PC에 미리 백업해야 합니다. 반대로 잠글때는 지워지지 않습니다.
4. 커스텀 롬 올리기
커스톰 롬(혹은 커널)을 올린 다는 것은 운영체제를 설치한다는 말입니다.
부트로더를 따고 CWM 리커버리를 설치 해서 CWM 리커버리를 사용하여 롬을 설치 합니다.
커널을 바꾸고 싶다면 롬 설치후 다른 커널을 설치 합니다. (롬 안에 커널이 들어가 있으므로 커널을 나중에 설치해야 겠죠)
이 일련의 작업들은 루팅과는 상관 없는 이야기입니다.
단지 대부분의 커스텀 롬에 루팅이 포함 돠어 있고, 그런 커스텀 롬을 올리면 루팅이 되어버리니 커스톰롬=루팅 처럼 느껴질 뿐입니다.
5. 언루팅
루팅이 꺼려지는 가장 큰 이유는 은행 어플을 못쓰기 때문입니다.
은행 관련 어플에서 당신의 폰이 루팅 폰인지 아닌지 확인 하는 방법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슈퍼유저 어플과 그와 관련된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겁니다.
따라서 그 파일들을 지우고 슈퍼 유저 어플을 삭제 하면 은행 어플 사용이 가능합니다.
대신 이렇게 지워지면 언루팅이 되는 것이죠. 티타늄 백업 같은 걸 못씁니다.
부트로더가 따였는지의 여부는 어플에서는 알 방도가 없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