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블릿의 관련글 출력이 꽤 마음에 들어서 이를 설치하고자 했는데 퍼머링크란 말을 몰라서 뭔소린지 한참을 고민 했다. 링크 머리에 퍼머를 하나 -_-?
permanent link : 김중태 문화원 1기 블로그
위의 링크에 친절하게 설명이 잘 되어 있다.
단순히 얘기하면 우리가 블로그에 쓴 글의 고유 주소, 절대적인 주소라 할수 있겠다.
그런데 퍼머링크라고 하지않고 "고유링크"나, "고유주소"라고 했으면 자세한 건 몰라도 감은 잡았을텐데...... 굳이 영문 명칭을 한글로 적을 필요가 있었을까? 차라리 "permanent link" 라고 쓰던가...
과거에 쓰던 이지보드에서는 DBF 코드란게 있어서 DBF 코드를 적어주면 그 DBF 코드에 해당하는 글이 최상단으로 올라가는 기능이 있었는데, 이게 각각의 게시물에 대해 고유한 숫자를 부여하고 있었다. 결국 고유주소와 같은 의미다.
아무튼 태터툴스에서의 고유 주소는 자신의 URL + [ # # _article_rep_link_ # # ] 가 되겠다.(공백은 빼고 넣어야 한다. html 태그를 잘 몰라서 쓰기 힘들다 -_-;;)
올블릿을 설치하고 보니 연관글들이 나오는게 진정한 블로그가 된것 같다. (말이 블로그지 이렇다할 트랙백도 별로 없어서 기존의 웹 보드를 사용하던 때와 다를바가 없었다. 아쉬운건.....
permanent link : 김중태 문화원 1기 블로그
위의 링크에 친절하게 설명이 잘 되어 있다.
단순히 얘기하면 우리가 블로그에 쓴 글의 고유 주소, 절대적인 주소라 할수 있겠다.
그런데 퍼머링크라고 하지않고 "고유링크"나, "고유주소"라고 했으면 자세한 건 몰라도 감은 잡았을텐데...... 굳이 영문 명칭을 한글로 적을 필요가 있었을까? 차라리 "permanent link" 라고 쓰던가...
과거에 쓰던 이지보드에서는 DBF 코드란게 있어서 DBF 코드를 적어주면 그 DBF 코드에 해당하는 글이 최상단으로 올라가는 기능이 있었는데, 이게 각각의 게시물에 대해 고유한 숫자를 부여하고 있었다. 결국 고유주소와 같은 의미다.
아무튼 태터툴스에서의 고유 주소는 자신의 URL + [ # # _article_rep_link_ # # ] 가 되겠다.(공백은 빼고 넣어야 한다. html 태그를 잘 몰라서 쓰기 힘들다 -_-;;)
올블릿을 설치하고 보니 연관글들이 나오는게 진정한 블로그가 된것 같다. (말이 블로그지 이렇다할 트랙백도 별로 없어서 기존의 웹 보드를 사용하던 때와 다를바가 없었다. 아쉬운건.....
- 넓이 100%로 할시에 관련 광고 박스가 커져서 레이아웃이 다소 망가진다.
- 글의 키워드와 관련 광고가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관련 글도 그다지 관계없어 보이는 것도 많다. 이 부분이 쉽지 않은 기술이라는 건 알지만, 쉬지 않고 개선하는 노력을 했으면 한다.
- 베타니깐... 더 좋아질거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