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호스팅을 신청해서 SVN(Subversion) + XE(XpressEngine) + 이슈트래커 사용하기
1. http://FFHosting.net 에서 무료 호스팅 신청?
PHP를 스크립트 언어로선택
SVN 사용할 것임믈 명시해 주셔야 합니다.
2. XE 설치
너무 쉬운 XE 사용자 안내서 을 따라해 본다
안내서에는 이슈 트래커는 없으니 XE : http://issuetracker.xpressengine.net 에서 다운로드 한다.
필요에 따라 Wiki, board, Blog 용 모듈도 다운로드해서 설치한다.
Textyle 블로그 : http://textyle.xpressengine.net/
게시판 : http://board.xpressengine.net/
위키 : http://wiki.xpressengine.net/
안내서의 Putty 대신 FF 호스팅 관리도구 에서 웹 SSH 사용해야 한다. : http://www.ffhosting.net/ff_webssh
(본인이 테스트 하던 곳의 방화벽 문제로 Putty SSH가 잘 안되는 듯하다)
3. SVN 프로젝트 추가
웹 SSH 로그인 : http://www.ffhosting.net/ff_webssh
www 디렉토리로 이동 : cd www
기본 저장소로 이동 (디렉토리 이름은 계정 등록시 알려주지만 아마 동일할 듯) : cd svn_repo
프로젝트 추가 : svnadmin create [프로젝트이름]
4. SVN 사용자 생성및 추가
웹 SSH 로그인 : http://www.ffhosting.net/ff_webssh
www 디렉토리로 이동 : cd www
기본 저장소로 이동 (디렉토리 이름은 계정 등록시 알려주지만 아마 동일할 듯) : cd svn_repo
사용자 계정 생성 : htpasswd -c .htpasswd [사용자이름]
패스워드를 2번 물어보는데 사용할 비번을 정해서 입력하면 됨
사용자 계정 추가 : htpasswd .htpasswd [사용자이름]
패스워드를 2번 물어보는데 사용할 비번을 정해서 입력하면 됨
5. SVN을 XE 이슈 트래커에 연동
XE 의 관리자 메뉴에 들어가서 서비스 관리 - 이슈트래커 - 생성을 클릭하고 다음 항목들을 설정한다.
프로젝트이름과 사용자아이디는 3번과 4번에서 만든 것을 사용한다.
6. 설치 소감
FFHosting.net은 SVN 서비스를 국내 최초로 시행하는 곳인걸로 알고있다.
여기에 XE 의 이슈트래커 모듈을 붙임으로 해서 여타 알려진 버그 트래킹 혹은 S/W 형상 관리 시스템을 부러워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
몰론 SVN의 연동 부분이 기존의 유명한 툴들 보다는 조금 못미치긴 하지만, 비용부담 없이 간단한 설치로 이정도의 기능을 사용 할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만족스럽다.
현재 무료 호스팅임에도 프로젝트의 갯수 제한도 없고 사용자 제한도 없다. (하드 용량에 한계가 가지 않는 이상은....)
문제는 프로젝트별 권한 관리가 안되는 점인데, 어차피 무료 호스팅은 제약이 있는 것이 당연하고 다만, 유료 계정 사용시 어찌 지원이 될지가 몹시 궁금할 뿐이다.
현재는 공개용 S/W 작업을 위해 무료 계정을 쓰고 있지만, 소규모로 상용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일이 있다면, 유료 계정을 적극적으로 이용해볼만 하다.
현재 [트래픽/HDD 용량 1G 업그레이드] 이벤트 진행 중입니다.
이 포스팅으로 이벤트 당첨 되어 1G의 하드용량과 트래픽을 얻었습니다. 강추 !!